본문 바로가기

가드닝615

[24절기] 눈이 많이 내리는 날 - 대설 눈이 많이 내리는 날 - 대설 대설(大雪)은 24절기의 21번째 절기로 태양 황경이 255도가 되는 때를 말한다. 이 무렵 많은 눈이 내린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대설은 눈이 많이 내린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이름과는 날리 이 시기에 눈이 많이 내린다고 볼 수는 없다. 본래 24절기는 중국 화북지방의 계절적 특징을 반영한 것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계절과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음력 11월 9일이며 대설이 있는 음력 11월은 동지와 람께 한겨울을 알리는 절기로 농부들에게 있어서는 일년을 마무리 하며 다음해를 맞이할 준비를 하는 농한기이기도 하다. 대설, 그리고 눈대설에 눈이 많이 오면 다음해에 풍년이 들고 따뜻한 겨울을 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는 아마도 쌓인 눈이 이듬해 농사를 .. 2016. 11. 26.
[24절기] 소설 - 첫눈을 기다리는 날 첫눈이 내리는 날 - 소설땅이 얼고 차차 눈이 내린다는 소설은(小雪) 24절기의 20번째 절기로 태양 황경이 240도가 되는 때를 이른다. 살얼음이 얼기 시작하여 본격적인 겨울 추위가 오지만 햇살은 따사로워 소춘(小春)이라고 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소설 무렵 심한 바람이 불고 날이 차다. 소설은 '초순의 홑바지가 하순의 솜바지로 바뀐다 (월초에는 옷을 얇게 입었는데 월말이면 솜바지를 입을 정도가 된다)'는 말처럼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래서 사람들은 소설을 기준으로 여러가지 월동 준비를 한다. 소설 추위"소설의 추위는 빚을 내서라도 한다."는 말이 있다. 소설에 날씨가 추워야 보리농사가 잘 된다는 뜻에서 비롯된 말이다. 실제로 소설 무렵에는 바람이 심하게 불고 날씨도 추워지고 지.. 2016. 11. 25.
[24절기] 겨울의 입구 입동 입동 - 본격적인 겨울의 시작 입동(立冬)은 24절기의 19번째로 태양 황경이 225도가 될 때를 가리키며 겨울이 시작하는 날이다. 양력으로는 11월 7일경에 해당한다. 입춘, 입하, 입추와 같이 계절의 시작을 알리는 4립의 하나이다입동을 전후한 날씨는 그해 겨울의 추위를 예상하는 지표가 된다고 생각 하였다. 예를 들어 입동의 날씨가 추우면 그 해 겨울은 매우 춥고 입동의 날씨가 따뜻하면 그 해 겨울은 따뜻할 것이라는 것이다. 입동과 김장명절은 아니지만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날로 여겨 왔기 때문에 사람들은 입동 전후로 하여 겨울 준비를 하였다. 대표적인 것이 김장인데 요즘에는 그 시기가 조금씩 늦춰지고 있다. 입동보기 겨울에 나는 보리잎을 보고 치는 농사점이다. '입동 전 가위보기'라고 하기도 하는데 이.. 2016. 11. 24.
[세이브 더 칠드런] 모자뜨기 캠페인 배워서 남주고 싶은 사람 모자학교로 모여라 ! 세이브더 칠드런의 신생아 살리기 모자뜨기 캠페인이 벌써 10주년이나 되었다. 10주년 기념으로 세이브 더 칠드런에서는 '모자학교'를 만들었는데 모자학교에서는 유명한 모자뜨기 뿐 아니라 자신이 가진 다양한 재능으로 기부하는 방법을 소개 하고 있다. 그냥 모자만 뜨려고 했는데 강하늘씨가 저렇게 해맑게 모이라고.. 정신을 차려보니 내 손은 가입 완료를 클릭하고 있었다. 세상을 돕는 이 7가지 원칙 멋지지 않은가? (지금 착한 수다쟁이인 척 하고 있는 ). 하하하주위에서도 보면 '좋은 일'을 하고 싶지만 막상 어떻게 해야 하는 지 모르시는 분들이 많다. 혹시 본인이 그렇다면 세이브더 칠드런의 모자뜨기 캠페인에 참여 해 보는 것은 어떨까? 신생아 살리기 모자뜨기 캠페.. 2016. 11. 10.
추수감사절 -(Thanks Giving Day) 가족과 함께 모이는 시간 추수감사절 11월 넷째주 목요일로 미국의 관공서, 학교, 기업 등이 추수감사절 전후의 수요일과 금요일을 휴일로 정하여 주말포함 5일간의 휴가에 들어간다. 보통 추수감사절을 기점으로 크리스마스때까지 연말의 축제분위기가 지속된다. 유래미국의 초대 대통령인 조지 워싱턴이 1789년에 자신이 다니던 교회에서 11월의 첫째 목요일을 기념일로 선포한데서 유래 되었다. 하지만 이 때 당시는 주 단위의 행사 였을 뿐 국가적인 행사가 된것은 아브라함 링컨때이다. 음식"추석"하면 송편을 떠올리듯 미국 사람들도 "추수감사절"하면 떠올리는 음식이 있다. 바로 칠면조와 옥수수이다. 칠면조 고기를 먹는 풍습은 첫 추수감사절 때 새 사냥을 나갔던 사람이 칠면조를 잡아와 먹기 시작한데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식.. 2016. 11. 3.
직구족을 위한 날 사이버 먼데이 직구를 노린다면 사이버 먼데이 사이버 먼데이 (Cyber Monday)는 11월 넷째주 목요일인 미국의 추수감사절 다음주 첫번째 월요일을 뜻하는 마케팅 신조어이다.온라인매장 중심으로 판매가 이루어지며 블랙 프라이 데이 다음 돌아오는 월요일을 말하는데 추수감사절의 연휴가 끝나고 일상을 복귀하는 소비자들이 온라인으로 물건을 구매할 수 있도록 마케팅 한데서 유래하였다. 사이버 먼데이라는 용어는 2005년 미국의 한 쇼핑몰에서 "일년 중 가장 큰 온라인세일인 사이버 먼데이가 곧 다가옵니다!" 라는 문구를 사용하면서 시작 되었다. 사이버 먼데이의 특징온라인쇼핑 중심블랙프라이데이와 마찬가지로 큰폭의 할인을 제공하며 줄을 서지 않고도 물품을 집에서 받을 수 있는 온라인 쇼핑을 위한 날이다. 온라인 매출의 70%가 이.. 2016. 11. 2.
검은 금요일 - 블랙 프라이데이 검은 금요일? Black Friday 점점 지구촌 행사로 자리 매김 해 가고 있는 미국의 블랙 프라이 데이 ! 매년 추수감사절인 11월 네번째 목요일 직후 열리는 미국 전역긔 온, 오프라인 유통점들의 할인 행사이다. 그저 그런 세일이 아니라 최대 80%에 이르는 할인 행사다 보니 많은 사람들이 이날을 손꼽아 기다리기도 한다. 유래쇼핑몰로 몰려든 소비자들로 인해 시즌 내내 직원들이 힘들어 했다는 뜻에서 유래 되었다는 설과 1년 내내 적자였던 기업들이 이때를 기점으로 장부에 적자(Red Ink) 대신 흑자(Black Ink)를 기재한데서 유래 했다는 두가지 설이 있다. 블랙 프라이데이는 11월의 마지막 주 목요일인 추수감사절 다음날로 미국에서 연중 가장 큰 규모의 쇼핑이 행해지는 날이다. 최대 80%에 이르.. 2016. 11. 1.
매주 마지막 수요일은 문화가 있는 날 저렴하게 문화생할 즐기는 팁 ! 문화가 있는 날 ‘문화가 있는 날’은 매달 마지막 수요일로 전국의 영화관, 공연장, 미술관 등 다양한 문화시설의 문턱을 낮추어 보다 쉽게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문화융성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2014년 1월부터 시행한 제도.. ‘문화가 있는 날’에는 전국의 주요 문화시설을 할인 또는 무료로 즐길 수 있다. 무려 '전국'의 주요 문화 시설을 즐길 수 있다! 세상에 ! 영화 관람에서 부터 스포츠, 공연, 전시, 문화재 등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니 자신의 지역에서 어떤 혜택을 볼 수 있는지 찾아보면 된다. 문화가 있는 날 홈페이지 바로가기 실제로 문화가 있는 날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가 있으니 매주 마지막주 수요일 혼자, 연인과, 가족과 함께 저렴.. 2016. 10. 26.
[24절기] 가을의 마지막 - 상강 가을의 마지막 - 상강 상강(霜降)은 24절기중 하나로 서리가 내린다는 뜻이다. 양력으로는 10월 23일 혹은 24일에 해당하며 밤의 기온은 낮아지는 반면 낮의 날씨는 매우 쾌청하다. 그야말로 가을의 하이라이트랄까. 단풍의 절정기이며 가을의 끝 절기로 계절의 변화를 뚜렷이 담고있는 절기이기도 하다. [사진 출처 : 구글검색 ] 상강과 관련된 풍속 '둑제(纛祭) 조선시대에 상강이 되면 국가적 행사인 둑제를 행했는데 이것은 국가의 군사권을 상징하는 제사로서 문치가 강조되었던 조선사회에서 거의 유일하게 무관이 주관하여 진행하는 국가적인 제사였다. [국조오례의] 에 규정된 바에 따르면 군사와 관련된 제사중 가장 중시 되었으며 다른 소사와 다르게 악무가 시행되었고 희생물로 양한마리와 돼지 한마리를 사용하였다. [.. 2016. 10. 23.
응급실 이용 방법 응급실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2015년 응급 의료기관 평가' 결과에서 대기 시간이 긴 상의 20개 병원에서 꼬수 수술이 필요한 중증 환자가 수술을 받지 못하고 응급실에 대기하는 평균 시간이 14시간에 달한다고 한다. 응급실을 찾는 사람은 넘쳐나는데 이를 수용할 응급의료시설이 턱없이 부족하기 떄문이다. 아마 주위에서 응급실을 찾아 갔는데 대기시간이 너무 길었다거나 다른 병원을 이용하라는 권유를 받았다고 말하는 사람들을 종종 볼 수 있을 것이다. 사람들은 당황하면 일단 응급실부터 찾기 때문에 제대로 진료 받지 못한채 대가히는 시간만 길어 지는 것이다. 꺠문에 효율적인 응급실 이용을 위해서라도 (응급실을 이용 할 기회가 많지는 않지만 그래도 만약의 사태애 대비하여) 응급실 이용수칙을 확인 할 필요 가 있다. .. 2016. 10. 22.